기사 (3,270건)

‘피팅모델’이 6년 연속으로 여름방학 최고 시급 알바 1위를 차지했다.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이 올 여름방학 동안 등록된 채용공고 96개 직종 44만 7,194건을 분석한 결과, 평균시급이 가장 높은 아르바이트는 ‘피팅모델’로 6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1위를 차지한 ‘피팅모델’의 평균시급은 1만 3,510원으로 2008년부터 무려 6년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여름방학을 대표하는 최고 시급 알바로 등극했다.이어 ‘방문·학습지’(13,485원), ‘개인지도·과외’(13,155원), ‘나레이터 모델’(9,908원), ‘대학·교육기관’(9,663원) 등이 최상위권에 올랐다.작년과 비교했을 때 올 여름방학 상위 10위권 고시급 알바는 ‘서비스 직종’이 주춤한 대신 ‘강사·교육’ 분야가 대세를 이뤘다. ‘방문·학습지’(13,485원), ‘개인지도·과외’(13,155원), ‘대학·교육기관’(9,663원), ‘자격증·기술’(7,846원), ‘입시·보습학원’(7,798원), ‘외국어·어학원’(7,749원) 등 총 6개 직종이 순위에 오른 것이다.반면, 평균 시급이 가장 낮은 직종은 ‘만화방’(4,993원)으로 3년 연속 최하위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아이스크림·생과일’(4,996원), ‘편의점’(5,001원), ‘도서·DVD대여점’(5,002원), ‘베이커리’(5,008원) 순이었다.작년 최저시급 10위권과 비교했을 때 ‘편의점’(5,001원)이 새롭게 포함된 것이 특징이었고 ‘아이스크림·생과일‘(4,996원), ‘도서·DVD대여점’(5,002원), ‘베이커리‘(5,008원), ‘주유·세차’(5,041원), ‘PC방'(5,064원)은 4년 연속 최하위권에 머물렀다.올 여름방학에는 지난해 대비 최고시급 평균은 내려가고 최저시급 평균은 약간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0위권의 평균 시급은 9,765원으로 작년(10,774원)보다 10.3% 하락한 반면, 하위 10위권의 평균 시급은 5,024원으로 작년(4,877원)보다 3.0% 상승해 최고와 최저 시급격차는 1.9배로 나타났다.전체 96개 업종의 평균 시급은 6,110원으로 작년 6,333원보다 약간 감소했지만 평균 시급 분포는 ‘5천원~6천원 미만’이 작년(55.3%)보다 1.2배 늘어 66.7%를 차지했다. 이어 ‘6천원~7천원 미만’(19.8%), ‘7천원~1만원 미만’(8.3%), ‘1만원 이상’(3.1%), ‘5천원 미만’(2.1%) 순으로 나타났다.

취업직장 | 오은정 기자 | 2013-08-14 15:26

직장인이 상사에게 가장 듣기 좋은 말은 “일 없으면 일찍 퇴근해”인 것으로 나타났다.고용노동부 취업포털 워크넷이 직장인 2,24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상사에게 듣기 좋은 말과 듣기 싫은 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63.6%(복수응답)가 “일 없으면 일찍 퇴근해”를 가장 듣기 좋은 말이라고 답했다.재미있는 것은 1위를 차지한 “일 없으면 일찍 퇴근해”를 비롯해 “나 먼저 퇴근할게”(45.9%), “나 다음 주부터 휴가야”(33.3%) 등 상사의 부재를 알리는 말들이 줄줄이 상위권에 랭크되었다는 점이다.이 밖에 “괜찮아 실수할 수도 있지”(53.3%), “자네라면 잘 할 것 같아”(34.4%), “힘든 것 이해해”(20.7%) 등 격려의 말도 직장인들의 듣기 좋은 말로 꼽혔으며 “자네 없으면 회사가 안 돌아가”, “역시 자네밖에 없어”, “수고했어” 등 능력에 대해 인정해주는 말도 순위에 올랐다.그렇다면 상사에게 가장 듣기 싫은 말은 무엇일까?워크넷에 따르면 직장인들은 가장 듣기 싫은 말 1위로 “그냥 시키는대로 해”(49.7%)를 꼽았으며, “내가 사원 때는 더한 일도 했어”(34.7%), “직장생활 몇 년 했어?”(33.1%) 등 직장 내의 보수적인 조직문화와 상사와의 경직된 관계를 보여주는 말들이 ‘듣기 싫은 말’ 상위권에 올랐다.이 밖에도 “분위기 파악을 못한다”(42.9%), “생각 좀 하면서 일해”(33.0%) 등 개인적인 공격성 발언들 역시 직장인이 듣기 싫은 말로 꼽혔으며 “그럼 그렇지”, “넌 몰라도 돼”, “이것도 몰라?” 등 업무능력에 대한 무시 발언을 듣기 싫다고 답한 응답자도 상당수로 나타났다.한편 직장인들은 상사에게 듣기 싫은 말을 들었을 때 적극적인 해명이나 불만 표출보다는 소극적으로 참고 있다고 답했다.기분 나쁜 말을 들었을 때 최선의 반응을 묻는 질문에 32.0%가 “절대 내색하지 않고 참아야 한다”고 답했으며 “일단 참고 사석에서 이야기한다”(19.6%)가 뒤를 이었다.“무시하고 하고 싶은 대로 한다”(18.9%), “기분 나쁘다고 할 말은 하고 넘어간다”(17.4%), “기분 나쁜 표정을 보이며 상대방이 알아 챌 수 있게 한다”(12.2%) 등 비교적 적극적으로 의사표현을 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소수에 그쳤다.최근 여러 기업들은 직장 내의 대화가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조직문화 개선에 나서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취업직장 | 오은정 기자 | 2013-08-09 14:48

인턴을 경험한 대학생 3명 중 1명(32.8%)은 자신이 인턴을 경험한 회사에 취업할 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26일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인턴 경험이 있는 전국 남녀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인턴 경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이와 같이 나타났다.인턴 경험자를 대상으로 전반적인 만족도를 다섯 가지 항목으로 나눠 살펴보았을 때 인턴 경험에 대한 자기 평가(62.4%)와 자신의 전공과 인턴 실무와의 연관성(55.8%), 사내 임직원들과의 친밀한 정도(60.0%)는 비교적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실제 자신이 수행한 업무가 회사에 도움되었다(47.6%)고 생각하는 대학생들은 절반에 미치지 못했으며, 인턴을 경험한 회사에 대한 취업의향을 묻는 질문에 32.8% 학생들이 “취업하고 싶지 않다”며 부정 응답한 것으로 나타나 인턴제도의 실효성 문제가 드러났다.인턴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31.6%는 중소기업에서 인턴을 했던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대기업은 21.6%, 정부/공공기관은 20.8%로 나타났다. 또한 인턴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도 기업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정부/공공기관 인턴에 대한 정보는 주변 동기나 선/후배(30.8%)를 통해 얻는 반면, 대기업 인턴 정보는 온라인 커뮤니티(27.8%)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드러났다. 중소기업 인턴은 학교 내 취업/경력개발센터(29.1%)를 통해 채용공고나 관련정보를 얻는 것으로 조사되었다.또한 이들의 월 평균 실 급여(세후)는 73만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부/공공기관이나 공기업의 경우 평균 66만원으로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대기업은 83만원, 중소기업은 71만원, 외국계기업은 92만원, 비영리단체는 58만원으로 기업/기관 유형에 따라 급여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그렇다면, 인턴으로서 가장 많이 경험한 업무는 무엇일까. 전체 응답자의 66.4%가 가장 많이 경험한 업무로 자료 수집/취합을 꼽았으며, 이어서 기획서/보고서 작성(51.6%), 복사/팩스(40.8%), 고객응대(36.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공공기관 인턴의 경우 타 기관 대비 자료수집/취합(76.9%) 업무를 경험한 학생들의 비율이 높았으며, 중소기업의 경우 기획서/보고서 작성(55.7%)이나, 프로그래밍 개발(26.6%) 등 업무의 관여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또한 인턴을 경험하며 가장 스트레스를 받은 경험으로 불필요하거나 반복적인 업무(53.2%)가 절반 이상의 응답률을 보였으며, 이어서 사전 교육이나 업무 매뉴얼이 없음(48.8%), 커피/복사/팩스와 같은 잔 심부름(36.6%), 사수의 관심 부족(34.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턴 기간 내 가장 눈치가 보였던 순간을 묻는 질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리에 앉았는데 할 일이 없을 때(51.6%)라고 응답했다.한편 대다수의 학생들이 인턴 제도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인턴제도에 대한 평소 견해를 묻는 질문에 정규직보다 저렴한 인건비로 단순 업무인력을 확보하려는 제도(31.6%), 취업난으로 힘들어하는 구직자들에게 일시적 위안을 주는 근시안적 제도(15.6%), 정부에 의한 강요로 기업/기관이 어쩔 수 없이 실시하는 제도(7.6%) 라는 부정적인 응답이 54.8%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그 외 구직자 입장에서 기업 실무를 사전에 경험할 수 있는 제도(32.8%), 직원을 채용하는 데 있어 역량을 검증할 수 있는 도움되는 제도라는 응답은 12.4%에 그쳤다.이번 조사를 진행한 대학내일20대연구소의 송혜윤 연구원은 “학생들이 인턴십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최근 정규직 채용을 무기로 영업을 강요하거나, 임금을 체불하는 등 인턴십이 대중화되면서 발생한 부작용으로부터 기인된 것으로 분석된다"며, “기업은 책임감을 바탕으로 적절한 과제부여 및 업무의 가이드라인과 구체적인 평가 기준 제공 등 예비직장인 육성 차원에서 필요한 지식과 역량을 전달하는 데 힘써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위 조사결과에 관한 보다 자세한 내용 확인과 자료 다운로드는 대학내일 20대연구소 홈페이지(www.20slab.org)를 이용하면 된다.

취업직장 | 오은정 기자 | 2013-08-06 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