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3,270건)

청년 구직자들의 공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해마다 더 늘고 있으며 평균 신입 희망연봉은 2,594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이 20대 청년 구직자 1.181명을 대상으로 희망하는 초임 연봉을 조사한 결과 평균 ‘2,594만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남자의 경우 ‘2,745만원’으로 작년 2,713만원보다 32만원 증가한 반면 여자는 ‘2,427만원’으로 작년 2,577만원보다 150만원 줄어 남녀간의 희망 연봉차이는 318만원으로 늘어났다.신입 희망연봉 분포를 살펴보면 ‘2천만 원~2천 5백만 원 미만’이 32.8%로 가장 많았고, ‘2천 5백만 원~3천만 원 미만’(29.6%), ‘3천만 원 이상’(28.3%)이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2천만 원 미만’은 9.4%로 가장 적었다. 이는 작년에 비해서 ‘3천만 원 이상’이 1.7%포인트 줄고 ‘2천 5백만 원~3천만 원’이 3.9%포인트 늘어난 수치다.학력에 따라서는 4년제 대졸자가 ‘2,645만원’, 2~3년제 대졸자가 ‘2,259만원’으로 차이는 386만원에 달했다.또 청년 구직자들은 해가 갈수록 공기업을 선호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기업형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공기업’이 1위(33.9%)에 올랐다. ‘공기업’에 대한 선호도는 2년 전인 지난 2011년 ‘26.6%’, 2012년 ‘27.5%’에 이어 올해는 ‘33.9%’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뚜렷하게 드러냈다. 작년보다 23% 증가하고 2년 전보다는 27% 증가한 수치다.반면 2위인 ‘대기업’은 ‘19.3%’를 차지하면서 2011년 ‘25.9%’, 2012년 ‘21.1%’에 이어 점차 줄어드는 현상을 보여 대비됐다. 2년 전보다 34% 감소한 수치다.이어 ‘중견기업’(15.9%), ‘외국계기업’(12.4%), ‘중소기업’(11.2%), ‘창업’(5.1%), ‘자영업’(2.2%) 순이었다.신입 희망연봉은 선호기업에 따라서도 다른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이 평균 2,9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외국계기업’이 2,745만원, ‘자영업’이 2,571만원이었다. 이어 ‘중견기업’(2,530만원), ‘공기업’(2,512만원), ‘창업’(2,458만원) 순이었고 ‘중소기업’이 2,298만원으로 가장 적었다.직업 선택 요인으로는 작년에 이어 ‘적성’이 37.2%로 가장 많았고 ‘안정성’(24.3%), ‘연봉’(20.5%), ‘비전’(11.7%), ‘성취감’(6.4%) 순으로 작년과 거의 비슷하게 ‘적성’을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취업직장 | 오은정 기자 | 2013-10-18 17:06

구직자가 원하는 희망 근로연령은 학력과 나이가 높을수록 증가하며, 각자 생각하는 일의 의미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대표 최인녕 www.alba.co.kr)이 10대에서 60대까지 전체 구직자 2,383명을 대상으로 ‘귀하는 정년퇴직과 상관없이 몇 세까지 일하고 싶습니까?’를 물은 결과 60대가 ‘72.4세’로 전체 응답자 중 가장 오래 일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반면 10대가 ‘61.1세’로 가장 낮았고 60대가 응답한 ‘72.4세’와의 차이는 ‘11.3세’에 이르렀다. 20대는 ‘64.2세’, 30대는 ‘65.4세’, 40대는 ‘67.2세’, 50대는 ‘68.5세’로 나이가 많을수록 일하고 싶은 연령도 점점 더 높아졌다.또한 이런 희망 근로연령은 학력 수준에 따라서도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고졸 이하는 ‘63.2세’, 초대졸은 ‘64.5세’, 대재 및 대졸은 ‘65.4세’, 대학원졸은 ‘69.6세’로 고졸 이하와 대학원졸이 응답한 나이 차이는 ‘6.4세’에 이르렀다.전체 분포로 보면 ‘60~70세 미만’이 45.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고 ‘70~80세 미만’이 30.6%, ‘50~60세 미만’이 11.8%였다. 이어 ‘80~90세 미만’(5.9%), ‘40~50세 미만’(2.6%), ‘90세 이상’(2.0%) 순이었고 ‘40세 미만’도 1.4% 있었다.또 ‘귀하가 생각하는 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라고 묻자, 일은 곧 ‘생계유지’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56.6%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2위는 ‘사회활동 참여’(15.8%), 3위는 ‘자아실현’(12.5%)이었으며, 이어 ‘자기계발’(11.7%), ‘인간관계 형성’(3.5%) 순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일을 생계유지 수단으로 생각하는 비율은 30대(70.8%), 40대(69.4%), 50대(74.3%) 등 중장년층으로 갈수록 더 높았고, 10대와 20대는 중장년층에 비해 자기계발(18.3%)과 자아실현(12.9%)에 의미를 부여하는 비율이 높았다.또한 이러한 일의 의미는 일하고 싶은 나이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생계 유지’를 위해 일한다고 대답한 응답자들은 정년퇴직과 상관없이 평균 ‘64.4세’까지 일하고 싶다고 대답한 반면, ‘자아실현’을 위해 일한다고 대답한 응답자들의 희망 근로연령은 평균 ‘67.2세’로 3세 가량 더 많았다. ‘사회활동 참여’는 65.1세, ‘인간관계 형성’은 63.8세, ‘자기계발’은 63,6세였다.

취업직장 | 오은정 기자 | 2013-10-16 17:58

구직자들이 가장 공감하는 알바생들의 높임말 실수가 공개됐다.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이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전국 10대에서 50대까지 전 연령의 구직자 2.035명을 대상으로 ‘알바생, 가장 공감 가는 높임말 실수’란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장 많이 쓰는 실수는 27.3%의 지지를 얻은 ‘그 메뉴는 안되세요’인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사물에 대한 잘못된 높임말을 사용하는 사례가 늘면서 아르바이트 현장에서도 이러한 표현이 자주 남용되고 있는 것. 메뉴, 음료, 주문 등 존대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사물에 ‘-시-’를 붙여 높이는 것은 잘못된 높임말로 ‘그 메뉴는 안 돼요’가 올바른 표현이다.이어 ‘이쪽으로 오실게요’가 17.7%의 지지를 얻으며 2위에 올랐고 ‘계산 하실게요’(16.1%)가 근소한 차이로 그 뒤를 따랐다. 이어 ‘주문되셨어요’(15.5%), ‘음료 나오셨어요(13.5%), ’생크림 올라가셨어요'(9.8%)도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알바생들의 높임말 실수인 것으로 밝혀졌다.연령별로 보면 10대와 20대는 ‘그 메뉴는 안되세요’를 1위(30.2%)로 꼽은 반면 30대는 ‘주문되셨어요’(22.2%), 50대는 ‘생크림 올라가셨어요’(26.1%)를 1위로 꼽아 가장 공감하는 높임말 실수에도 연령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전체 응답자의 4명 중 1명(25.9%)은 일상생활에서 비표준말(축약어, 은어, 인터넷 용어)을 상당히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용 빈도는 ‘보통이다’(38.1%), ‘가끔 사용한다’(32.0%), ‘많이 사용한다’(21.1%), ‘아주 많이 사용한다’(4.8%) 순이었으며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는 비율은 단 4%에 불과했다.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아주 많이 사용한다’와 ‘많이 사용한다’는 비율이 10대가 35.4%로 가장 많았고, 20대에서 50대까지는 각각 28%, 19.2%, 11.8%, 10.1%로 줄어들었다.비표준말을 사용하는 이유로는 ‘짧고 간편해서’라는 답변이 41.7%로 가장 많았고 ‘재미있고 친근감이 있어서’(29.0%),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어서’(17.3%), ‘사람들이 다들 쓰니까’(12.0%) 순이었다.또 ‘맞춤법을 자주 틀리는 사람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듭니까’라는 질문에는 절반인 51.9%가 ‘눈에 거슬리지만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대답했지만, ‘무식해 보인다’는 답변도 38.7%로 많은 응답을 얻었다.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는 답변은 9.3%였다.특히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는 답변은 10대에서 16.4%로 전체 연령 평균(9.3%)보다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나 비표준말을 많이 쓰는 만큼 맞춤법 여부에도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것으로 밝혀져 우려를 안겼다.

취업직장 | 오은정 기자 | 2013-10-08 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