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도서지방 씻김굿 ‘고흥 혼맞이굿’ 무형문화재 지정

전남도, 도서지방 씻김굿 ‘고흥 혼맞이굿’ 무형문화재 지정

  • 오은정 기자
  • 승인 2015.06.10 21: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라남도는 ‘고흥 혼맞이굿’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신규 종목으로 지정예고 하고, 진도 북놀이와 진도 북춤, 고흥 월포농악은 보유자 인정을 예고한다고 10일 밝혔다.

고흥 혼맞이굿은 망자의 영혼을 달래주는 씻김굿으로, 남도 특유 무속 전통을 잘 전승하고 있다. 김명례(73.여) 보유자는 세습 무계에서 태어나 무계 출신 남편을 만나 가업으로 전승하고 있으며, 고흥 혼맞이굿에 대한 체계적 지식과 예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진도 북놀이(전라남도무형문화재 제18호·1987년 지정)는 양손에 북채를 쥐고 다양한 기법을 구사하는 북장단과 함께 뛰어난 춤사위를 가지고 있다. 새로 인정 예고한 이희춘(55) 보유자는 박관용류 북놀이를 이수하고 전수교육 조교로 활동해왔다. 진도 북놀이의 중심적 역할을 잘 하고 있으며 기량이 우수하다. 박관용류 북놀이는 진도 3대 북놀이 중 하나로 남성적이고 역동적인 양태옥류와 아주 여성적인 김길선류의 중간 형태다.

진도만가(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 1987년 지정)는 전문화된 상여꾼들이 상여를 매고 가면서 부르는 상여소리로 2명의 보유자로 새로 인정하기로 했다.

오주창(68) 보유자는 전수교육 조교로서 당초 보유자 설재림 사후에 진도만가 연행에서 중심역할을 하는 선창자다. 목통이 좋아 상두꾼들이 활기차게 상여놀이를 연행토록 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김기선(66) 보유자는 전수교육 조교이며 진도만가보존회장으로서 다년간 보존회를 이끌어왔다. 장구를 반주하면서 뒷소리를 해왔으며 상여꾸밈에 대한 지식도 풍부하다.

고흥 월포농악(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 27호. 1994년 지정)은 금산면 월포마을에서 연행되는 도서해안굿의 일종으로 문굿이 특징이다. 진삼화(72) 보유자는 전수교육 조교로서 오랫동안 종쇠를 잡아왔다. 2013년 정이동 상쇠(보유자)가 작고한 뒤 상쇠를 맡는 등 월포농악의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기량이 우수하다.

이번에 지정 또는 인정 예고된 문화재는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의견을 수렴한 뒤 전라남도문화재위원회(제3분과) 심의를 거쳐 문화재로 지정(인정) 고시할 예정이다.

한편 전라남도는 무형문화재의 전수활동 활성화를 위해 곡성 죽동농악(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35호)의 전수교육 조교 전기연을 선정했으며, 강진 청자장(무형 36호) 이승훈, 목조각장(무형 56호) 김도형. 이상국, 송천달집태우기(무형 24호) 조삼순, 남도 잡가(무형 34호) 신은오, 장산도 들노래(무형 21호) 윤영순. 최막례 등 5종목 7명의 전수장학생을 선정했다.

전라남도는 무형문화유산의 체계적인 보존과 효율적인 전승을 위해 신규 자원 발굴 확대, 기록화 사업 추진, 공개 발표 다양화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