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식증 증상, 결벽증이나 성적강박증 등 동반질환도 주의해야

폭식증 증상, 결벽증이나 성적강박증 등 동반질환도 주의해야

  • 임선혜 기자
  • 승인 2014.08.25 1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폭식증 증상, 결벽증이나 성적강박증 등 동반질환도 주의해야

다이어트를 할 때 조심해야 할것중에 하나가 폭식증이다. 폭식증 증상은 특정한 시간에 음식물 섭취에 대한 자제력을 잃으면서, 자신의 체중이나 체형에 과도하게 집착 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 폭식증 증상, 결벽증이나 성적강박증 등 동반질환도 주의해야 / 이하 이미지=stock.xchng

폭식증증상은 음식에 대한 집착외에도 결벽증과 강박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더욱 조심해야 한다. 압구정정인한의원 이성준한의사를 통해 폭식증환자들이 가질 수 있는 결벽증과 강박증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폭식증 환자의 패턴을 보면 여라가지 특징들이 존재하는데 그중 가장 흔하게 존재하는 패턴중에 하나가 바로 결벽증이 유독 심하다는 것이다. 결벽증이란 특이하게 병적으로 깨끗함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하게 되는 상태를 말하는데 폭식증 환자들을 치료하다보면 거의 대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결벽증 증세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중 특히 여성들에게 있어서는 성(性)적인 부분에 대해 결벽증을 가지는 경우가 많아서 이것에 대해 지나칠 정도로 예민하고 보수적이며, 필요 이상의 콤플렉스를 가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심한 경우는 이 부분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사회의 모습간에 논리적 모순을 이겨내지 못해서 우울증으로 번지게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물론 성과 연관되어 과거보다는 비교적 개방적으로 변화된 문화가 보편화된 지금에 있어서 과연 어느정도 수준이 성(性)과 연관되어 가장 도덕적이고 합리적인가에 대해선 정해진 답을 내리는건 매우 힘들다고 볼수 있다. 하지만 인간에게 있어서 식욕과 더불어 가장 자연스러운 욕구중 하나인 성욕이라는 부분을 이야기하는데 있어서 필요이상의 병적인 결벽증을 가지는 것이라면 이는 분명히 집고 넘어가야할 문제라 아니할 수 없다.

이는 이 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개인적인 문제라기 보단 그 환자가 어렷을때부터 성장해온 가족간의 관계에서 유발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같은 패턴을 가진 사람들의 성장과정을 들어보면 대부분 매우 엄격하고 규율을 중요시하는 가정속에서 스스로의 견해나 생각의 자유에 대한 부분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오직 엄친아(엄마친구아들;부모님의 말을 잘듣는 아이들을 묘사하는 은어)의 모습을 강요받고 살아온 사람들인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즉, 유년기에서 사춘기를 거쳐오면서 감정의 다양성이 발휘되는 시점에 있어서 그것을 외부로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부모님이 가지는 기준을 무분별하게 강요받게 되고, 이후에 성인이 되어서 이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 주변과 원만하게 어울리지 못한다는 사실에 대해 혼돈을 가져오게 되고, 급기에 그것들이 폭발하게 되었을 때, 정상인에서 벗어난 여러 가지 행동패턴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 과정상에서 나타나는 것중에 하나가 바로 폭식증인 것이다.

다시말해 이런 패턴의 사람들에게 있어서 폭식증은 바로 유년시절 합리적 성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상태에서 단순하게 강요받은 성(性)적 결벽증이 가지는 여러 가지 형태의 표현방식중 하나인 것으로써, 이들에게서 폭식증을 진정시키기 위해선 자신이 어릴 때 부모님이나 다른 가족간의 관계에서 가졌던 감정상의 미묘한 갈등을 꼭 인지할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며 그 과정속에서 해당되는 환자 스스로 하여금 그러한 감정의 어긋남을 직접 바로 잡을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나이가 어릴 경우 부모와의 면담이 1차적으로 시행되어야 하고, 성인의 경우에 있어선 점진적인 감정의 접근이 중요하다. 인간의 감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아마추어들이 잘못 접근해서 이 부분을 손을 댈 경우, 어떤 경우에 있어선 자기 자신에게서 존재하는 감정의 소용돌이를 주체하지 못해서 잘못된 선택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수 있으므로 꼭 전문가에게 이를 의뢰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는게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압구정정인한의원 이성준한의사는 폭식증은 단순히 음식에 대한 병적인 집착이 아닌 그 환자가 가지는 오랜 기간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난 감정상의 모순이 만들어내는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런 특징이 있다고 생각할 경우에 있어서는 무분별하게 식욕을 억제하려고 하기 보단 자신의 과거속에 존재했던 감정의 모순을 이해하고 이를 최대한 합리적으로 정리해서 현 사회속에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감정조절의 기술을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폭식증 증상에 따른 예방법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정인한의원에서 정리한 폭식증 증상 해결법을 참고하면 된다. 폭식증 예방방법 및 자가진단 보기>>

건강칼럼: 복치의학회 부회장, 한방다이어트치료 압구정정인한의원 (www.junginomc.com) 이성준 원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