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212개소 확충…비용절감 모델 73% 확보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212개소 확충…비용절감 모델 73% 확보

  • 오은정 기자
  • 승인 2013.11.07 1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가 지난해부터 2년간 국공립어린이집 212개소를 확충한 가운데, 신축이 아닌 기업, 종교단체, 학교, 개인 등 민간이 제공하는 부지, 공공유휴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이른바 ‘비용절감형 서울모델’로 73%(155개소)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당초 목표보다 32개소를 늘릴 수 있었고, 총 1,589억 원을 들여 신축대비 약 2,500억 원의 예산도 절감했다.

앞서 서울시는 2014년까지 서울시내 동별 최소 2개 국공립어린이집 확보를 목표로 ‘12년 80개소, ‘13년, ‘14년 각각 100개소씩 총 280개소를 확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1만3천여 명의 영·유아 대기자 수요를 해소할 수 있게 됐으며, 전체 423개동 중 미설치동(수요 없는 명동, 소공동 제외)을 37개동→16개동, 1개 설치동은 211개동에서 140개로 줄이는 등 동별 지역불균형도 해소했다.

<7일, 민간건설사 ㈜삼성물산과 민간아파트 내 국공립어린이집 우선 확보 첫 업무협약>

이런 가운데 서울시는 오는 7일(목) ㈜삼성물산과 업무협약을 체결, 앞으로 ㈜삼성물산이 건설하는 삼성래미안아파트 내 의무보육시설을 국공립어린이집으로 우선 확보할 수 있게 돼, 시의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사업이 보다 탄력을 받게 됐다고 밝혔다.

삼성물산은 향후 시공되는 래미안아파트 단지 내에 사업시행자(삼성물산, 조합 등)가 어린이집을 설치할 때 자치구에 무상임대 또는 기부 채납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며, 서울시는 기자재비를 지원해 국공립으로 설치 운영하도록 노력한다.

협약식은 래미안아파트 내 1호 국공립어린이집인 래미안리버젠 어린이집(성동구 옥수동 소재)에서 박원순 시장과 배동기 ㈜삼성물산 부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다.

민간건설사가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 협약을 체결하는 것은 처음으로, 시는 향후 타 민간건설사의 참여가 확대될 경우 저비용으로 국공립어린이집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보육 공공성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동주택 의무보육시설을 활용할 경우 신축대비 1/10~1/15 수준의 비용으로 확충이 가능하다.

현재 서울시 조례상 SH공사에서 신축하거나 서울시에서 매입하는 임대주택 내의 의무보육시설은 국공립어린이집으로 설치해야 한다는 규정은 있으나, 민간건설 아파트의 경우는 국공립어린이집 설치에 대한 법적 규정은 없다.

이번 협약을 통해 ‘14년 삼성 래미안 아파트 분양예정인 고덕시영 등 5개 단지와 현재 공사 중인 단지에까지 확대해 적용이 검토될 예정이다. 만약 타 민간건설사들의 참여가 이어질 경우 그 파급효과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특히 ㈜삼성물산은 단지 내 국공립어린이집 설치를 위해 영유아보육법상의 기준보다 훨씬 더 넓은 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하겠다는 계획도 갖고 있어 보육시설 수준 향상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공동주택 내에 국공립어린이집 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할 경우, 입주민 정원의 일부에 대해 우선 입소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영유아보육법 개정을 관계 부처에 요청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가 개발한 ‘비용절감형 서울모델’인 민관공동연대 방식은 기업, 종교단체, 학교, 개인 등이 어린이집 설치장소를 제공하면, 시가 신축비나 리모델링비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때 기업이나 단체는 어린이집 운영을 희망할 경우 최초 5년간 국공립어린이집 운영권을 수탁 받을 수 있다.

특히 국공립어린이집 다수 확충으로 혹시 있을 수 있는 민간어린이집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운영이 어렵거나 노후된 민간어린이집 중 매도 및 전환을 희망하는 경우 공공이 매입 또는 국공립으로 전환하는 등의 방안으로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집 신축사업은 1개소 신축하는데 드는 비용이 약 20억원~30억원으로 민관연대에 비해 4.3배, 공동주택에 비해 13배나 높은 비용이 들어 민관연대를 통한 서울모델이 예산 절감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여기에 서울의 경우 신축 부지를 찾기도 어려운 여건을 감안하면 민관연대 및 공동주택 의무보육시설을 활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민관연대의 대표적인 사례로, 지난해 10월 개원한 마포 키움어린이집은 원래 교회 교육관으로 사용되던 공간을 마포구 담당 공무원이 해당 교회가 신축해 이전한다는 소식을 듣고 교회를 방문,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사업 방향을 설명하고 시설 무상임대를 요청해 교회에서 이를 흔쾌히 받아들여 이루어진 사례다.

소요된 시 예산은 리모델링비와 기자재비 등 약 1억 7천만 원이며, 주변 주민들의 반응도 좋고, 교회도 지역사회에 기여하게 되어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또한 서울시는 올 4월에 학생 감소로 유휴교실 활용이 가능한 학교 전수조사를 실시해, 가능한 학교와 의사를 타진하던 중 성심여고에서 시청각실과 어학실습실 등 279.6㎡의 공간을 제공하겠다고 제안해 현재 국공립어린이집을 설치 중에 있다.

이외에도 민간재단과 관련기관의 기부를 통한 사례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서초구립 하나푸르니 반포어린이집은 하나금융공익재단에서 30억 원을 지원해 지난 4월 개원했고, 이외에도 은행연합회,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등이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사업에 적극 기여했다. 육군사관학교는 관사를 새로 건축하면서 관리동을 무상임대해 국공립어린이집을 설치하도록 자치구에 제안했다.

송파구 석촌동은 동주민센터를 리모델링한 사례로 현재 국공립어린이집을 건축 중에 있다.

<보육수요 있는 동별 최소 2개소 확보 목표로 내년에도 100개소 이상 확충>

서울시는 보육수요가 있는 동별 최소 2개 이상 확보를 목표로 내년에도 100개소 이상 국공립어린이집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8월에 국공립 미설치 및 1개설치 지역을 전수 조사했으며, ‘14년도에 설치 가능한 약 66개동에 대해 우선 설치할 계획이다. 당장 설치가 어려운 90개동에 대해서는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추진한다.

당장 보육시설 설치가 어려운 이유는, 보육수요가 적고 수급율이 높은 동, 재개발·재건축 지역으로 지정돼 공사가 어려운 동, 90~100%가 공동주택으로 이루어진 지역 등이다.

또한 서울시는 국공립어린이집의 양적확충 뿐 아니라 질적 개선도 필요하다고 판단해 신규 위탁시 사회적협동조합에 위탁하는 등 위탁방식의 다양화를 추진하고, 내년에는 국공립어린이집의 표준보육 서비스에 대한 연구도 시행할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국공립어린이집 서울모델은 ‘콜럼버스의 달걀’과 같이 발상의 전환을 통해 누구도 쉽지 않을 것이라 했던 국공립어린이집을 확충한 업무혁신 사례”라며 “적은 비용으로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며, 삼성물산의 사례와 같이 보육 공공성 강화를 위해 다른 민간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