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원전 사고 이후 방사능 오염 식품 유입 등과 관련한 정부 안전 대책에 대해 부정적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국내 원자력 발전 비중을 당초 계획보다 절반 가까이 줄이기로 한 정부 방침에 대해서는 찬반 여론이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일본 원전사고 정부 안전 대책 평가]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가 지난 10월 16일 전국 성인남녀 1,172명을 대상으로 일본 원전사고에 따른 식품 등 방사능 오염 안전 대책에 대한 평가 조사를 실시한 결과 35.7%가 ‘잘 못 대응하고 있다’, 33.6%가 ‘보통이다’, 19.9%는 ‘잘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잘 모름’은 10.8%였다.‘잘 못함’ 응답은 40대(40.2%)와 30대(37.5%), 서울권(41.9%)과 전라권(38.1%), 사무/관리직(47.6%)과 전업주부(36.1%)에서 ‘잘 함’ 응답은 20대(23.8%)와 40대(21.3%), 경기권(23.1%)과 충청권(22.2%), 생산/판매/서비스직(30.5%)와 학생(24.8%)에서 응답률이 높았다.정당 지지도별로는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가 ‘보통 38.7%>잘 못함 27.5%>잘 함 24.9%>잘 모름 8.9%’, 민주당 지지 응답자는 ‘잘 못함 41.4%>보통 39.4%>잘 함 13.8%>잘 모름 5.4%’ 순이었다.[국내 원자력 발전 축소 방침 의견]이와 함께 정부의 국내 원자력 발전 축소 방침에 대해선 40.7%가 ‘일본 원전사고 및 국내 원전의 잦은 고장 등을 고려할 때 긍정적’, 40.0%가 ‘전력 수급 및 전기 요금 인상 우려 등을 생각할 때 부정적’이라고 밝혀 거의 같은 응답률을 보였다. ‘잘 모름’은 19.3%였다.‘긍정적’ 의견은 20대(52.4%)와 30대(46.6%), 경남권(52.8%)과 서울권(45.0%), 생산/판매/서비스직(52.2%)과 사무/관리직(47.2%)에서, ‘부정적’ 의견은 60대 이상(43.6%)과 50대(43.2%), 충청권(59.7%)과 경기권(42.2%), 농/축/수산업(53.0%)과 자영업(44.6%)에서 응답률이 높았다.조사를 진행한 모노리서치의 김지완 선임연구원은 “일본 원전사고 이후 후속 위험성에 대한 경고가 끊이지 않고 오히려 증폭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안전 대책 역시 좋은 점수를 얻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국내 원자력 발전 축소 방침에 대해 경남권의 긍정 평가가 상당히 높은 것도 지리적으로 일본과 가까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며 “입장 유보 응답률이 높은 것은 그동안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해 온 정부의 다소 급작스러운 축소 입장에 혼란을 느끼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이번 조사는 10월 16일 저녁 전국 19세 이상 남녀 1,172명을 대상으로 일반전화 RDD(무작위 임의걸기) IVR(ARS)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성별, 연령별, 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6%p이다.
이슈 | 오은정 기자 | 2013-10-18 16:53
국민 10명 중 5명은 지역구의 광역 및 기초의원의 이름과 의정활동에 대해 잘 모른다고 답했다. 또 내년 6월 지방선거 후보자 투표 기준으로 ‘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과 능력’을 가장 많이 손꼽았다.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는 지난 10월 16일 전국 성인남녀 1,172명을 대상으로 지역구 광역·기초 의원 인지도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49.0%가 ‘이름과 의정 활동 모두 잘 모른다’고 답했다. 40.0%는 ‘이름과 의정 활동을 부분적으로만 알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11.0%만이 ‘이름과 의정 활동 모두 잘 안다’고 밝혔다.권역별로 ‘모두 잘 모른다’고 답한 지역 순은 ‘경기권 54.9%>서울권 50.8%>충청권 49.5%>경남권 48.5%>전라권 39.9%>경북권 37.2%’이었다. ‘모두 잘 안다’는 ‘경북권 21.0%>경남권 18.0%>경기권 10.5%>전라권 8.6%>충청권 8.4%>서울권 3.7%’ 순이었다.연령별·직업별로 ‘모두 잘 모른다’는 30대(54.9%)와 40대(52.7%), 학생(68.8%)과 기타/무직(59.2%), ‘부분적으로 알고 있다’는 20대(43.7%)와 50대(43.9%), 농/축/수산업(52.0%)과 전업주부(45.3%), ‘모두 잘 알고 있다’는 50대(15.7%)와 30대(10.2%), 자영업(18.4%)과 농/축/수산업(16.3%)에서 응답률이 높았다.정당 지지도별로는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들이 ‘모두 잘 모름 43.5%>부분적으로 알고 있음 40.9%>모두 잘 알고 있음 15.6%’, 민주당 지지 응답자들은 ‘모두 잘 모름 46.8%>부분적으로 알고 있음 47.4%>모두 잘 알고 있음 5.8%’ 순이었다.이와 함께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어떤 기준을 가지고 투표를 할 것인지’를 물은 결과 38.8%가 ‘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과 능력’, 20.7%가 ‘인물의 이력과 도덕성’, 16.9%가 ‘정치 경험 및 지역 사회 활동과 경륜’, 8.7%가 ‘소속 정당 및 진보·보수 정치 성향’, 6.1%가 ‘새로운 인물 위주의 참신성’ 순으로 응답했다. ‘기타’는 3.9%, ‘잘 모름’은 4.9%였다.조사를 진행한 모노리서치의 피창근 본부장은 “지방자치 민선 5기에 접어들었음에도 자신의 지역구 광역 및 기초의원에 대한 인지도는 조사 결과 매우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지방선거 투표기준으로 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과 능력을 최우선 순위로 꼽는 유권자들의 다소 상반된 태도를 엿볼 수 있었다”며 “투표 전의 생각과 달리 선거 이후 지역 정치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떨어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과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이번 조사는 10월 16일 저녁 전국 19세 이상 남녀 1,172명을 대상으로 일반전화 RDD(무작위 임의걸기) IVR(ARS)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성별, 연령별, 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6%p이다.
이슈 | 오은정 기자 | 2013-10-18 16:52